본문 바로가기

coding-heesong86

[TIP] brew로 node 버전 바꾸기 노드 버전 검색 brew search node 원하는 버전으로 설치 brew install node@12 노드 패키지는 동시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노드버전을 언링크해야 한다. brew unlink node 버전 연결하기 brew link node@12 경우에 따라 --force로 강제 플래그를 사용해야 할 수 있다. brew link --force --overwrite node@12 새로운 node 버전이 나와 실행하여 brew를 업그레이드할 경우 링크가 제거되고 최신 node 버전이 대신 링크된다. 원하는 버전을 고정하여 사용하고 싶다면 PATH에 추가하는 것이 좋다. echo 'export PATH="/usr/local/opt/node@12/bin:$PATH"' >> ~/.z.. 2021. 9. 3.
> Task :react-native-firebase_messaging:compileDebugJavaWithJavac FAILED - build.gradle (app): project.ext.envConfigFiles = [ debug: ".env", releasestaging: ".env.staging", release: ".env.production" ] buildscript { repositories { gradlePluginPortal() } dependencies { classpath 'gradle.plugin.com.onesignal:onesignal-gradle-plugin:[0.12.10, 0.99.99]' } } apply plugin: "com.android.application" apply plugin: 'com.google.gms.google-services' apply plugin: 'com.onesignal.. 2021. 9. 3.
[React Native] The minCompileSdk (31) specified in a... 빌드 에러 하루 일과처럼 몸에 벤 안드로이드 빌드 시전 중 갑자기 뜬 에러 The minCompileSdk (31) specified in a dependency's AAR metadata (META-INF/com/android/build/gradle/aar-metadata.properties) 종속성 AAR 메타데이터가 이제 31을 최소 컴파일 SDK로 지정됨. 그래서 그거에 맞게 수정해줘야한다. build.gradle파일을 열어서 수정해주자. buildscript { ext { ... compileSdkVersion = 31 targetSdkVersion = 31 ... } } compileSdkVersion, targetSdkVersion 둘 다 수정해줘야한다. 2021. 9. 3.
[React Native] Run custom shell script 'Bundle React Native code and images' 빌드 오류 해결 Run custom shell script 'Bundle React Native code and images' 에러가 나면서 빌드 실패... 이유가 뭔지 검색해보니까 node랑 관련이 있었다. 회사 노트북에서는 빌드가 되는데 왜 집에서는 안될까? 차이점도 생각해보니까 node 설치를 다르게 했던 것. 회사에서는 brew로 node를 설치했고, 집에서는 nvm으로 설치했는데 이 nvm 설정해주는 과정에서 bash_profile, zshrc 파일에서 경로를 커스텀해줬던 것을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nvm으로 설치한 node를 지우고 brew로 설치해줘서 해결을 해줬다. $ rm -rf $NVM_DIR ~/.npm ~/.bower $ brew install node [참고 사이트] 2021. 8. 21.